자연을 생각하는 골재_vol28

한국골재협회 박도문 협회장 친필 휘호(揮毫) 이산(移山) 박도문 협회장이 휘호하고 있는 모습 명언으로 배우는 삶의 지혜 踏雪野中去 不須胡亂行 今日我行跡 遂作後人程 의 의미 踏雪野中去 不須胡亂行 (답설야중거 불수호란행) 눈 덮인 들판을 걸어갈 때 어지럽게 함부로 걷지 말라. 今日我行跡 遂作後人程 (금일아행적 수작후인정) 오늘 내가 가는 이 발자취가 뒷사람의 이정표가 될 것이니. 踏雪野中去 不須胡亂行 今日我行跡 遂作後人程 의 유래 이 시는 백범 김구(白凡 金九, 1876~1949)의 글에 서산대사(1520~ 1604)의 시로 소개되어 있는 등 서산대사의 시로 알려지기도 하였으나, 정 작 서산대사의 글 모음집인 청허당집(淸虛堂集)에 이 시가 실려 있지 않아 작 자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 시는 조선 후기의 문인 이양연(李亮淵, 1771~1853)의 작품으로, 이양 연의 시집 ‘임연당별집(臨淵堂別集)’에 실려 있으며, ‘대동시선(大東詩選)’에 도 이양연의 작품으로 올라있어 사실상 논란의 여지가 없으며, 짧은 시에 촌 철살인의 시상(詩想)을 멋지게 펼쳐내고 따뜻한 인간미와 깊은 사유를 잘 담 아내는 이양연의 전형적인 시풍(詩風)을 보여주는 작품 중 하나이다. 『자연을 생각하는 골재』는 한국골재협회 에서 발행하는 분기별 소식지입니다. 골재 업계 및 유관기관 등에게 유익한 골재산업 정보와 다양한 소식을 전하는 종합 Magazine으로, 언제나 정확하고 빠른 정보 전달을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Korea Aggregates Association <자연을 생각하는 골재> 2021년 4호·통권 28호 『자연을 생각하는 골재』에 바라는 점이나 새로운 의견, 게재하고 싶은 글이 있으신 분은 담당자에게 연락 바랍니다. Tel 02-470-0150 | E-mail hjg1815@naver.com 건설산업의시작에서국민생활의중심으로 안전한대한민국을만들어가는 한국골재협회 KoreaAggregatesAssociation Magazine Vol. 28 2021년 4호·가을호 발행일 2021년 10월 29일 발행처 한국골재협회 발행인 박도문 기획 기장현·홍지헌 (02-470-0150) 주소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401, 골재회관 7층 기획·편집·디자인 AMP 인쇄 금성기획 News 08 한국골재협회 업계소식 10 산림골재채취업체 외국인근로자 고용허가 안내 12 협회 전력수요 관리(DR) 사업 안내 13 KT 전력수요 관리(DR) 사업 신청서 Issue & Focus 14 골재 이슈 20 골재자원조사 강원도 속초시 25 콘크리트에 대한 새로운 상식! “콘크리트 이야기” 26 우리나라 골재산업의 발전 방향 시리즈(Ⅲ) 골재산업의 대책 및 발전 방향 30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Culture & Life 32 그곳에 가면 이제부터, 해외로! 34 新택리지 위드코로나시대, 드라마 촬영지포항으로 36 생활 속 건강 상식 가을 환절기 건강 책임질 가을보양식 삼총사! Information 38 골재가격동향 39 신규 회원 【참고】 임연당(臨淵堂) 이양연(李亮淵)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자는 진숙(晋叔)이며, 호는 임연(臨淵)이다. 성리학에 정통하였으며 문 장 창작에도 탁월한 능력이 있었다. 사대부로서 농민들의 참상을 아파하는 민요시를 많이 지었는 데, 그 중 《야설(野雪)》이란 시는 백범 김구가 애송(愛誦)하여 널리 알려졌다. 저서로는 《침두서(枕頭書)》 《석담작해(石潭酌海)》 《가례비요(嘉禮備要)》 《상제집홀(喪祭輯笏)》 등이 있고, 민요시 《촌부(村婦)》 《전가(田歌)》 《해계고(蟹鷄苦)》 등을 남겼다.

RkJQdWJsaXNoZXIy MzY4OTY5